• 2022. 9. 8.

    by. 뚜비뚜바뚜뚜바

    반응형

     

    제12호 태풍 무이파, 서해로 북상 가능성 있어

    한국에 큰 피해를 입힌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지나간 지 얼마 안 되어 또 다른 태풍이 발생했다는 소식입니다. 힌남노가 남긴 피해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또 다른 태풍이 올라온다고 하니 태풍에 대비를 해야겠습니다. 제12호 태풍 무이파의 예상 경로가 이번에는 서해를 따라 중부지방으로 북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입니다. 예상 이동경로와 날자를 알아보겠습니다.

    12호 태풍 무이파의 예상 경로는 아직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각국의 기상청 예상에 의하면 서해를 따라 북상할 가능성을 높이 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조금 더 적극적으로 태풍에 피해가 없도록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제 12호 태풍 무이파 예상 이동 경로와 날자

     

    현재 필리핀 동쪽 해상의 열대 저기압이 서서히 남서로 이동하면서 필리핀 쪽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합니다.

    태풍의 기준이 되는 초속 17m를 넘어 태풍으로 자리 잡은 상태입니다. 내일 금요일(9월 9일)에 태풍 무이파는 중급 단계의 태풍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에서는 현재 이미 태풍이 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기상청에서는 10분간의 평균 풍속을 측정하지만, 미국 기상청에서는 1분간의 평균 풍속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미국의 풍속이 한국과 일본보다 크게 나옵니다. 그로 인해 미국이 가장 먼저 태풍으로 판정한 것입니다. 한국과 일본에서도 곧 태풍 발생 소식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 기상청에서는 허리케인급 태풍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제12호 태풍도 심상치 않아 보입니다. 

     

    현재 무이파가 위치한 곳의 해수온은 30˚입니다. 태풍의 발생은 바다수온이 27˚이상에서 발생하고, 우리나라 제주도 앞바다까지 해수온이 현재 27˚입니다. 그러므로 무이파는 제주도 앞바다까지 태풍이 발달하면서 북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에 힌남노태풍이 바다를 많이 휘저어 놓아서 해수온이 좀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높습니다. 태풍은 따뜻한 해역에서 수증기를 공급받으면 당분간 지금 있는 해역에서 정체하고 세력을 키워나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나라별 예상이동경로 [출처 : 소박사TV]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합동경보센터에서 각각 5일간의 이동경로 예보가 발표되었습니다. 

    태풍은 힌남노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오키나와와 대만 쪽으로 이동합니다. 오키나와와 대만은 힌남노 태풍 때도 상당한 피해를 입은 곳입니다. 이번 12호 태풍 무이파 역시 오키나와와 대만 사이에 정체를 합니다. 그곳은 또다시 힘든 시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한국 기상 청의 예상경로 : 태풍의 머리를 대만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 일본과 미국 기상청 예상 경로 : 태풍의 머리가 한국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습니다. 

     

    2011년도에도 제9호 태풍 이름이 무이파가 있었습니다. 2011년도의 무이파는 서해상을 거쳐 북한에 상륙했었습니다. 그때 당시 발생초기에 슈퍼태풍으로 발달한 무이파가 서해쪽으로 북상 한 것이였습니다. 그때당시 우리나라에 피해가 커서 사망자가 4명이나 되었습니다. 

     

     

    올해 2022년 제12호 태풍 무이파도 그때와 같은 경로로 이동할 것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출처 : 소박사TV]

     

    위의 이미지는 유럽중기예보센터와 미국 해양대기청, 독일 기상청에서 이동경로를 발표한 것입니다. 

    9월 12일에 태풍은 화살표가 되어있는 위치까지 이동합니다. 독일이 가장 빠르게 북상해서 제주도 남쪽 먼바다까지 북상해 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독일은 5일까지밖에 발표를 하지 않습니다. 

     

     

     

    유럽중기예보센터와 미국 해양대기청의 5일간의 이동경로 이후의 경로도 발표한 상태입니다. 

     

    [출처 : 소박사TV]

    유럽중기예보센터에서는 오키나에 정체하고 있던 "제12호 태풍 무이파"가 북상하면서 제주도 서쪽 해상을 지나 우리나라는 직접적인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후 9월 15일에는 북한에 상륙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2011년도 제9호 태풍 무이파와 비슷한 경로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 해양대기청에서는 태풍이 상하이 앞바다를 지나 중국 동쪽 해안선을 따라 북상한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예측대로라면 태풍은 우리나라와 멀리 떨어져서 이동합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이 전혀 없을 수는 없겠지만, 피해는 적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9월 15일 태풍의 중심은 발해만에 위치할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북서태평양에는 매년 태풍이 25개 정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3~4개 정도라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1~2개가 상륙합니다. 많은 때는 1년에 5개 정도가 한반도에 상륙한 해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자연재해는 인간이 피할 수도 막을 수도 없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힌남노로 인해 피해를 입은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포항은 피해가 너무 컸습니다. 위로를 전하고 싶습니다. 태풍의 이동경로는 아무도 모릅니다. 단지 예상하는 정도로 태풍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할 뿐입니다. 새로이 북상하는 "무이파" 태풍, 미국 해양대기청의 예상대로 이동경로가 우리나라와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하기를 희망합니다.

     

    반응형